센터 소개
센터장 인사말
인천대학교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는 모기와 꿀벌로 알려진 매개곤충 자원에 대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원천기술을 창출하여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 시에 산업화를 주도하고자 2016년 10월 설립되었습니다. 교육 기관으로서 교육 과 국제협력에 이바지함으로 세계적 수준의 연구소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는 매개곤충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 뿐 아니라, ’융 복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분야의 우수한 연구진들로 구성되어 있 습니다. 특히, 4차 산업 혁명에 발맞추어 기존의 NBIT(NT+BT+IT)융합을 넘어 정보통신기술(ICT)과의 융합으로 매개질병에 대한 보다 스마트한 범국가적 안 전망을 구축하고자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는 2020년 교육부 지정 대학중점연 구소로 선정되어 융복합기반기술을 이용한 감염병-매개곤충 제어 플랫폼 구축 에 대한 교육/연구 및 인재양성 등 국책연구소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는 매개곤충 연구에 대한 신념과 매개 질병으 로부터 안전한 세계를 향한 목표를 갖고 연구개발 및 융·복합적 산업 발전에 기 여할 것이며,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연구기관이 되겠습니다.
인천대학교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장 권형욱
운영위원 소개
연구중점 교수
BAYARSAIKHAN
ULZIIJARGAL
연구분야
곤충 분류학
학력 및 경력사항
- 2001.09 ~ 2004.06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Zoology
- 2010.03 ~ 2012.02 M.S. 인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2012.03 ~ 2016.02 Ph.D. 인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2016.03 ~ 2020.02 PostDoc. 인천대학교
대표논문
“Biodiversity of Lao PDR. Phou Khao Khouay and Phosabous National Protected A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pp. 512. (English, ISBN 978-89-6709-090-6).
“Biodiversity of Lao PDR. Moth and Butterfly(Insecta, Lepidopter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pp. 303(ISBN 978-89-6811-403-893490).
“A review of the genus Eugoa Walker (Lepidoptera, Erebidae, Arctiinae, Lithosiini) in Cambodia,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Zootaxa 4403(3):469-494. (SCI)
“Genus Microlithosia (Lepidoptera, Erebidae, Arctiinae) in Laos,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Zootaxa 4420 (4): 502- 508. (SCI)
“A checklist of Poliosia Hampson, 1900 (Lepidoptera, Erebidae, Arctiinae) with emphasis on the Cambodian fauna, and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to the genus.”, Zootaxa 4482 (1): 140-150. (SCI)
ULLAH
ZAKIR
연구분야
화학
학력 및 경력사항
- 2006.09 ~ 2008.09. B.S. University of Peshawar (UOP) Biological Science
- 2008.09 ~ 2015.02. M.S. University of Peshawar (UOP)
- 2016.03 ~ 2021.02 Ph.D. KAIST
- 2021.09 ~ PostDoc. 인천대학교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
대표논문
OMCOS 19, Jeju South Korea 2017. “Computational Insight into Intermolecular Rauhut Currier (RC) Reaction of γ- Hydroxyenone”
IBS-KAIST 2018 “Catalytic Asymmetric Dearomatization by Visible-Light-Activated [2+2] Photocycloaddition”
Korean Chemical Society, KCS 2018 “Markovnikov versus anti‐Markovnikov addition and C–H activation: Pd–Cu synergistic catalysis”
“Genus Microlithosia (Lepidoptera, Erebidae, Arctiinae) in Laos,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Zootaxa 4420 (4): 502- 508. (SCI)
중점연구소 지원 사업
중점연구소 연구
사업개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중, 대학의 연구 거점 구축과 대학 연구소의 특성화•전문화 유도 및 우수 신진 연구인력육성을 위한 「 중점연구소 지원사업 」 에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가 제안한 ’융복합기반기술을 이용한 감염병 매개곤충 제어 플 랫폼 구축 · 연구가 2020년 선정됨
사업 전략
인천지역적여건에적합한감염병매개곤충융합 바 이오산업을 국내외 혁신주체 간 협업네트워크 구축 및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
매개곤충을모델로기반연구에서부터다학제 I 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융복합연구와 산업을 발전
나아가 국가적으로 감염병 매개곤충에 대한 과학적인 연 구와 인프라 구축으로 매개곤충 제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선도적 교육 연구센터 구축
성과목표
매개곤충 융복합 분야 연구개발 및 실용화를 목적으로 매개곤충 연구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 정책 지원을 통하여 관련 원천연구 활성화, 바이오안전성, 실용화 ICT 융합플랫폼 구축 및 활성화를 제고할 수 있도록 “매개곤충자 원융복합연구센터사업”을 시행
매개곤충 관련 다양한 융복합연구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생태학, 유전자원 등의 원천 연구결과와 다양한 연구기관과의 Network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플랫폼을 발굴 구축함
ICT 융복합 실용화 기술개발 및 활성화 업무를 수행하며 연구개발과 연계하여 바이오산업계 전반에 걸쳐 대학, 부설연구소와 바이오기업간의 연구개발 결과의 공익 및 산업적 성과제고를 촉진함
####세부 과제 내용
12월 학술 행사 및 연구 활동
센터 관련 언론 보도
인천대 녹색환경지원센터, 인천시와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교육
인천대학교는 자교 녹색환경지원센터가 인천시와 지난 29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인천시에 등록된 1 685곳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중 신청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관리교육을 대면과 온라인으로 실 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사업장의 안전의식 제고와 화학사고 사전예방을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 이익상 시 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연구사가 화학사고 대응체계와 사고사례, 화학물질관리법 지도·점검 주 요법령에 대해, 김소희 인천광역시 소방본부 119화학대응센터 소방위가 유해화학물질 중 사고 사례·예방대책에 대해 각각 강의했다.
온·오프라인 교육에 참여한 사업장을 대상으로는 화학안전포인트 카드 발급과 포인트를 지급했다.
녹색환경지원센터와 인천시는 지속적으로 교육을 실시해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 관리자와 종사자 등의 안전관리 인식을 제고시켜 사고를 사전 예방하고, 화학물질 관리법의 법령개정사항과 제도 등을 전달해 사업장의 관계 법령위반 방지에 도움을 주기로 했다. 또한 화학사고 발생 시 빠른 초동조치를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고대응방법도 교육해 기업체의 자율적인 환경관리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출처: 대학 저널 외 4건
자율주행차 ‘눈’ 전쟁…레이더일까 라이다일까
최근 테슬라에 대한 흥미로운 외신 보도가 있었습니다. 테슬라가 자율주행기술을 위해 레이더 장치를 도입하겠다는 소식이었죠. 내년 1월 중순부터 테슬러 차량에 레이더 장치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레이더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전파를 사용합니다. 카메라와 달리 어두운 환경이나 악천후 상황에서도 주변 물체를 잘 인식해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유기 물질에 대한 투과도가 높아 플라스틱, 옷감까지 투과가 가능합니다. 레이더는 본래 항공 위성과 지상을 연결하는 원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를 위해 개발됐습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는 그 정도로 먼거리까지 전파를 보낼 필요는 없었습니다.
강승택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교수의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레이더 기술’ 논문에 따르면 자율주행차의 레이더 적합 주파수는 77기가헤르츠(GHz)에요. 약 150 ~250m의주변을인지할수있는수준이죠.하지만레이더는정밀성이떨어진다는 단 점이 존재해요. 물체의 종류를 판독할 수 없을뿐더러 크기가 작은 물체를 잘 인식하 지못해요.안전이필수인자율주행차입장에선정밀도는굉장히중요한요소죠. 라이 다는 파장이 짧은 빛(레이저)을 이용해 주변 환경을 인지해요. 파장이 짧아 정밀하게 주변을인지할수있어작은물체도식별이가능해요.특히거리정확도의 오차 범위가 ±3cm 일 정도로 매우 정밀하죠.
레이더와 라이다의 장단점이 뚜렷한 만큼 향후 어떤 센서가 시장에서 대세가 될진 예상할 수 없어요. 최근엔 두 장치가 각자의 단점을 보완하고자하는 연구 개발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고요. 업계 관계자는 “레이더와 라이다가 공존할지, 아니면 한 장치가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독식할지 아무도 예단할 수 없다”며 “다만 레이더는 정밀해지고 라이다는 가격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어요.
출처: 비지니스 워치
해외 출장
Digital Olfaction Society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1일까지 권형욱 교수와 이정현, 박준영 연구원 이 일본 도쿄 Digital Olfaction Society 2022 학회에 참석했다. Digital Olfaction Society는 후각센서 개발 및 후각의 메커니즘 규명 등 화학 감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부터 기기의 개발까지 다루는 전문적인 학회이다. 이러한 도쿄 학회 참석은 관련 연구에 대한 더 넓은 통찰과 연구 개발의 추진 력을 얻게 된 훌륭한 계기가 되었다.
태국 마히돌 대학교에 말라리아 관련 회의 및 공동연구 추진
2022년 12월 6일부터 14일까지 권형욱 교수와 홍성종 교수, 김동수 교수가 태국 마히돌 대학교에 말라리아 관련 회의 및 공동연구 추진을 목적으로 방 문하였다. Tropical medicine 학회 참관 및 자료수집을 통해 말라리아 관련 공동 교육 및 연구를 협약하였다.
논문 게제 실적

제목:
Evaluation of dogs (Canis familiaris) as an indicator of Japanese encephalitis (JE) outbreaks: A retrospective s erological stud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oun d the 2010 resurgence of JE in the Republic of Korea
저자:
예정용, 생명과학기술대학, 인천대 교수
저널:
One Health
DOI:
키워드:
Dog; Japanese encephalitis virus; Republic of Korea; Resurgence; Seroprevalence

제목:
Nutrition for Honey Bee to Prevent Colony Collapse
저자:
- 김현지, 인천대학교 매개곤충융합자원센터
- 서규빈, 인천대학교 매개곤충융합자원센터
- Zakir Ullah, 인천대학교 매개곤충융합자원센터
- 권형욱, 인천대학교 매개곤충융합자원센터
저널:
Journal of Apiculture
KCI:
Article ID: ART002902429
키워드:
Nutrition; Macronutrient; Micronutrient; pH; Role differentiation

제목:
Bioelectronic Tongues Mimicking Insect Taste Systems for Real-Time Discrimination between Natural and Artifici al Sweeteners
저자:
- 이승하,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 연구원
저널:
ACS SENSORS
DOI:
키워드:
bioelectronic sensor; bioelectronic tongue; carbon 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 insect sugar taste receptor; nanovesicle; sweetener discrimination.
수상 실적
논문 게제 실적

강승택, 정보기술대학, 인천대 교수
스마트그리드 모니터링용 메타물질 반사판 RIS 중계기
제 53회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22/12/09)
중점연구소 운영위원회 회의
2022년 12월 26일 중점연구소 운영위원회 회의가 개최되 었다. 센터장 권형욱 교수를 비롯, 운영위원 강승택, 박 준태, 진성훈, 최병조, 권재성 교수가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마치며
우리 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는 독자님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mei@inu.ac.kr’로 개선 요청 사항 / 알고 싶은 소식 / 문의 사항 등을
보내주시면 적극 반영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 119(송도동), 인천대학교 29호관 314호, 312호, 315호
전화: (032) 835-8090, 835-8079
FAX: (032) 835-0805
E-MAIL: hwkwon@inu.ac.kr / mei@inu.ac.kr
Homepage: http://crciv.i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