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연구활동>연구성과(2023)

1. 감염병 매개곤충의 종 다양성 연구
ㅇ 국내 모기 분포 분석을 위해 인천광역시의 도심 및 철새도래지 지역에서 2023년 3 ~ 11월까지의 모기 분포를 조사하였음
ㅇ Ae. albopictus, Ae. lineatopennis, Ae. vexans, Anopheles spp., Coq. ochracea, Cx. bitaeniorhychus, Cx. inatomii, Cx. orientalis, Cx. pipiens, Cx. tritaeniorhynchus, Cx. vagans, Man. uniformis, Oc. dorsalis, Oc. koreicus 총 14종의 모기가 채집되었음
ㅇ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Cx.pipiens(빨간집모기)로 전체 개체수의 66.11%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Cx. inatomii(이나토미집모기)(6.74%), Anopheles spp.(얼룩날개모기 속)(5.29%) 순으로 많이 채집되었음
ㅇ 모기는 4월 1주차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여 꾸준히 개체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모기가 생존하기 좋은 환경인 여름부터 대량으로 채집되었으며, 11월 1주차에 급격히 채집되었는데 가을모기로 인해 도심지역에서 빨간집모기가 급증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됨
ㅇ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는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모기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요한 매개모기의 한 종류임, 작은빨간집모기는 철새도래지인 인천 경서동에서 주로 채집되었으며, 경서동과 인접한 연희동 도심지역에서도 발견되었음
ㅇ 일본뇌염 경보는 채집된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 수가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500마리 이상일 때임. 전국 거점에서의 채집 결과, 2023년 7월 27일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으며 지난해(2022.7.23.)보다 1주 가량 늦은 것으로 보고됨.
2. 국외 질병매개곤충 표본 확보
- 위생곤충 빈대(Cimex lectularius) 1종 표본 확보
- 모기류(Culicidae) 중심으로 확보 및 채집을 실시 했지만, 모기류의 특성 및 현지 사정상 채집 후 후속 조치가 힘든 상황으로 연구가 가능한 표본 확보는 계속 진행중
3. 매개곤충 화학감각수용체의 구조 및 리간드 탐구
- 3D 모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학감각수용체와 화합물의 결합 사이트 예측



